달력

22025  이전 다음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
<%

function getInfo_function(xurl)


  dim RStr

  dim xmlClient


  Set xmlClient = Server.CreateObject("Microsoft.XMLHTTP")

  xmlClient.open "GET", Xurl, False

  xmlClient.setRequestHeader "Content-Type","text/xml"

  xmlClient.setRequestHeader "Accept-Language","ko"

  xmlClient.send


  if xmlClient.status = 200 then

   Set responseStrm = CreateObject("ADODB.Stream") 

   responseStrm.Open 

   responseStrm.Position = 0 

   responseStrm.Type = 1 

   responseStrm.Write xmlClient.responseBody

   responseStrm.Position = 0

   responseStrm.Type = 2

   responseStrm.Charset = "utf-8" 

   RStr = responseStrm.ReadText  

   responseStrm.Close

   Set responseStrm = Nothing

  else

   RStr = "get_fail"

  end if


  SET xmlClient = nothing

  getInfo_function = RStr


end function


%>


<%

read_data = getInfo_function("http://")

response.write(read_data)

%>


출처 : http://horangi.tistory.com/2


'A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sp 폴더 내 파일 목록 보기  (0) 2012.07.09
asp xml 파싱  (0) 2012.07.09
ASP UTF-8 파일 읽기,쓰기 및 실행 예제  (0) 2012.05.11
ASP 날짜 처리 함수  (0) 2012.05.10
ASP 종료 함수  (0) 2012.04.05
Posted by dewlit
|

<압축 풀기>

1. tar.gz 압축풀기


$gunzip filename.tar.gz    // tar.gz에서 gz을 풀어냅니다.

$tar xvf filename.tar         // tar를 풀어냅니다.  ( x: 압축풀기 , v: 압축푸는 상태를 본다, f: 파일이름 )


압축푸는 상황을 보고 싶지 않으시다면 v옵션을 주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보통은 적습니다.


2. tar.gz 한번에 풀기


$tar xvzf filename.tar.gz


이렇게 간단하게 풀어버리는 방법도 있습니다.ㅋ


<압축 하기> 


3. tar.gz 압축하기


$tar cvf filename.tar file1...    //file1의 폴더나 파일을 filename.tar로 묶는다 (압축아님)

$gzip filename.tar                //filename.tar을 filename.tar.gz로 압축한다 (이땐 압축)


4. tar.gz 한번에 압축하기


$tar cvzf filename.tar.gz file1...     //file1의 폴더나 파일을 filename.tar.gz로 묶고 압축한다.



출처 : http://towanouta.tistory.com/101

Posted by dewlit
|

예전에 latin1로 저장된  db를 그냥 옵기게 되면 한글이 깨져서 보이지 않게 됩니다.

그럴때 사용하기 위한 방법 입니다.

1. 백업하기
   mysqldump -u{username} -p{password} {dbname} --default-character-set latin1 > {dump}.sql
  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이 --default-character-set latin1 입니다.
   이것이 없으면 온전하게 백업이 되지 않으니 여러가지로 어렵습니다.

2. 문자셋 변환하기
    (문제가 되는 것이 보통 이 과정에서 메모장이나 에디터를 이용하게 되면 깨져서 복원을 할때 에러가 발생합니다.)   
    utf8로 변환 할때 
    iconv -c -f cp949 -t utf-8  원본파일명  > 변환될 파일명.sql
    euckr 이라면 변환 할때 
    iconv -c -f cp949 -t euckr 원본파일명  > 변환될 파일명.sql

3. 복원될 테이블 구조 변환하기
    latin1 =>  utf8; 변경해도 됩니다.           -> 생략 가능 
   
    sed -e 's/latin1/utf8/g' -i 변환파일명.sql

5, 디비 생성 
    이때 utf8_general_ci 로 생성 합니다.      -> 생략 가능

6, mysql 을 다시 시작 합니다. 

7, 디비 복원 
mysql --default-character-set utf8 -u{username} -p{password} {utf8-dbname} < {dump}.sql 

utf8로 변환 할 경우 db에 한글이 깨져서 나오지만 웹에서는 한글 출력이 제대로 된다.

db에도 한글이 잘 입력되려면 euckr로 변환하면 된다.


출처 : http://hancem.tistory.com/5


Posted by dewlit
|